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컴퓨터, 독서, 학습, 그리고 사람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미니주요글
  • 미니가 읽은 책
  • 태그
  • 방명록
  • RSS

컴퓨터, 독서, 학습, 그리고 사람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632)
    • 사색 (154)
      • 독서 (134)
      • 칼럼 (9)
      • 생각 (8)
      • 신문스크랩 (2)
    • 리뷰 (112)
      • 트랜드 (2)
      • 세미나 (18)
      • 블로그 (66)
      • 일반 (16)
    • 영어 공부 (7)
      • 영어학습 (0)
      • 영어표현 (6)
      • 유용한 단어 (1)
    • Cloud&BigData (92)
      • BigData Modeling (5)
      • 하둡(Hadoop) (22)
      • 구글앱엔진 (1)
      • NoSQL (3)
      • Fingra.ph (2)
      • R (23)
      • BigData (13)
      • Machine Learing (20)
      • Lean Startup (3)
    • Beginner (5)
      • 웹표준 (5)
    • XML Developer (42)
      • SCORM (9)
      • XML기초 (8)
      • HTML5 (7)
      • 디자인 패턴 (12)
      • XSL (6)
    • 프로젝트관리론 (34)
      • 프로젝트지침 (9)
      • 프로젝트수행 (9)
      • 프로젝트관리 (7)
      • 인력관리 (7)
      • 기획 (2)
    • 컴퓨터공학 (39)
      • 전산보안론 (7)
      • 소프트웨어공학 (5)
      • 디지털서비스 (18)
      • 디지털네트워크 (1)
      • 통계학 (8)
    • 프로그래밍 (146)
      • 아이폰 (15)
      • 안드로이드 (24)
      • 바다 (1)
      • 리눅스 (17)
      • MySQL (11)
      • Java (26)
      • 윈도우 (4)
      • Web (35)
      • Oracle (1)
      • Mac (5)
    • 셀프 (0)
  • 방명록

리뷰 (112)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이유

한스 로슬링의 "팩트풀니스" -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본능 제1장 간극본능 사실충실성은 지금 저 이야기는 간극을 말한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그런 이야기는 별개의 두 집단이 서로 간극을 두고 존재하는 그림을 가정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현실은 그렇게 극과 극으로 갈리지 않는다. 사람들이 간극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그곳에 사실은 인구 대다수가 존재한다. 간극 본능을 억제하려면 다수를 보라. 제2장 부정본능 사실충실성은 지금 저 뉴스는 부정적 면을 보도한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나쁜 소식은 좋은 소식보다 우리에게 전달될 확률이 훨씬 높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다. 어떤 상황이 점점 좋아져도 그것은 뉴스가 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주변 세계에 대해 항상 지나치게 부정적 인상을 받기 쉽고, 이것..

리뷰/트랜드 2021. 10. 5. 08:05
앰비언트 컴퓨팅! 앰비언트 커머스!!

최근 아마존, 구글 등 앰비언트(ambient)라는 용어를 자주 볼 수 있다. 앰비언트는 '주위의, 주변의' 또는 '(음악 등이) 잔잔한, 은은한'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다. IT와 관련하여 앰비언트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대로 유비쿼터스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든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컴퓨팅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진정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살고 있는 지금, 다시 앰비언트라는 말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2017년 월스트리트저널의 칼럼니스트인 '월트 모스버그(Walt Mossberg)'가 쓴 미래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한 칼럼에서 앰비언트 컴퓨팅을 다시 언급했다고 한다. 모스버그는 다가올 미래에는 컴퓨..

리뷰/트랜드 2020. 12. 21. 08:12
미니 주요글

R 주요 강의 [R#1] 데이터 통계 분석을 위한 R 설치와 활용[R#2] R 실행을 위한 기본적인 내용들~[R#3] R 데이터 구조에 대한 정리[R#4] R 패키지 설치하기[R#5] R 데이터셋 처리 함수들에 대한 간단한 정리~[R#6] R 데이터셋 정렬하기~[R#7] R 데이터셋의 일부 데이터 가져오기[R#8] R의 lapply, sapply, vapply를 이해하자~[R#9] R의 apply, tapply의 활용법을 알아보자~[R#10] R의 split 활용[R#11] R의 함수 작성 및 활용~[R#12] R 시뮬레이션 - 랜덤 변수 샘플링[R#13] R 함수에서 캐시 활용하기~[R#14] R 디버깅 툴 활용하기~ 하둡 주요 강의 [Hadoop#1] 하둡 설치부터 테스트까지 정리~[Hadoop#2]..

리뷰/블로그 2017. 7. 26. 23:58
윈도우 미디어플레이어로 CD에서 MP3 추출~

아이들이 영어 공부하면서 CD를 가져오는데 MP3로 변환해서 스마트폰에 넣어주고 재생하는게 편해서 CD에서 MP3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찾아봤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도 가능하더군요. 윈도우 미디어플레이어 CD를 MP3로 변환 CD를 넣으면 미디어플레이어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나오면 우측 상단을 클릭해서 "라이브러리로 전환"을 합니다. 라이브러리 전환해서 상단의 "복사 설정"을 누르고 형식, 오디오 품질 등을 설정합니다. "기타 옵션"에서는 저장할 폴더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CD 복사"를 클릭하면 CD의 데이터를 MP3로 변환하게 됩니다. MP3 태그 변환하기 이렇게 다운로드한 MP3 파일의 태그를 한번에 변경하기 위해서 MP3Tag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

리뷰/일반 2015. 9. 12. 15:02
유투브 MP3 추출 및 유튜브 연속재생~

어린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 노래 등이 올라와서 인지 아이들이 유투브(YouTube)를 참 좋아합니다. 헬로 카봇이나 터닝메카드의 오프닝 노래를 틀어달라고 하기에 폰에서 아예 MP3로 변환하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웹에서 YouTube MP3 추출하기 유투브에서 MP3를 추출하는 것은 요즘 웹사이트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별로 어려움이 없습니다. 아래 웹 사이트에서 유투브 URL을 넣고 변환하기 누르면 바로 "다운로드" 버튼이 나오는 형태가 되는 것이죠.. 가장 쉽게 변환할 수 있는 사이트는 YouTube MP3 입니다. http://www.youtube-mp3.org/ URL 넣어주고 "Convert Video" 버튼을 클릭하면 변환이 완료됩니다. 만약 다양한 타입 (WEBM, MP4, MP3)로 변환하..

리뷰/일반 2015. 9. 11. 19:26
빅데이터 분석 무료 교육 안내~

2015년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지원사업으로 빅데이터 분석 관련 무료 교육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7월 8일(수) ~ 7월 10일(금) 까지 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진행합니다. 1일차에는 빅데이터 분석의 필요성과 개념, 비즈니스에 적용 사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볼 계획이고2일차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관련 기술들을 다뤄볼 생각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3일차에는 실제 빅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어떤 방법이 더 나은 것인지 몇가지 주제를 정해서 함께 논의하면서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정식 과정명은 "오픈소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Data Science & Analytics)"이고, 제가 강의를 진행합니다. 단순히 Hadoop이나 R 사용법만 교육하는 기존의 빅데이터 강의에서 벗어나 수강하시는 분들..

리뷰/세미나 2015. 6. 15. 09:46
글로벌 모바일 비전 GMV 2013 참석~

10월 30일 ~ 31일 사이에 삼성동 코엑스 인터콘티넨탈에서 진행된 GMV 2013에 참석했습니다. 글로벌 포럼, 전시회, 1:1 바이어 상담 등으로 진행되었는데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업체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고,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협의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주로 전시회 부스를 준비해서 참석했었는데.. 이번에는 1:1 바이어 상담을 중심으로 진행했습니다. 전시회 부스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깊이있는 논의가 부족한 면이 있었는데, 1:1 미팅은 약 한시간 동안 미리 선정된 업체와 자유롭게 협의를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미국의 Sprint, 중국의 Vivo/Sohu.com/Insta Investment, 일본의 Hitachi, 콜롬비아..

리뷰/세미나 2013. 11. 3. 19:36
오픈 클라우드 및 오픈 스탠다드 컨퍼런스에서 핑그래프 발표~

지난 23일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 주최로 "Open Cloud & Open Standard"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최근 이슈인 오픈 스택(Open Stack)의 Tom Fifield가 오픈 클라우드 및 표준화 사례에 대해 발표하고, 래드햇(Redhat)도 최신의 오픈 소스 기반 클라우드를 소개했네요. 컨퍼런스 마지막 세션으로 클라우드를 활용한 모바일 분석 플랫폼으로 핑그래프(Fingra.ph) 발표를 했습니다. 현재까지의 Fingra.ph 진행 과정과 향후 SAAS 플랫폼으로 발전할 방향에 대해서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참석한 많은 분들이 격려해주고 글로벌로 성장하는 Fingra.ph를 응원해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리뷰/세미나 2013. 10. 28. 00:40
스마트 게임 데이즈 2013 참가

17 ~ 18일 세종대에서 열린 스마트게임데이즈에 참석했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해외 바이어들이 함께 참석해 발표도 하고 특히 게임을 비롯한 각종 플랫폼 업체들과 보다 깊이있는 비즈니스 논의를 할 수 있었던 것이 좋았습니다. 저희도 Fingra.ph를 기반으로 부스도 만들고 함께 이야기하는 자리를 가졌네요. 개인적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한 비즈니스 간 융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행사들이 많이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리뷰/세미나 2013. 10. 21. 08:42
DEVIEW 2013~

지난주 DEVIEW 2013을 다녀왔습니다. 구글, 링크드인, 넷플릭스에서 일하는 한국 개발자들이 자신의 업무를 바탕으로 세션을 발표하고, 현재 뜨고 있는 기술들이 실제 현업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좋았네요. DEVIEW 2013을 보면서 이와 같은 개발자 컨퍼런스가 더 많아지고 확대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네요. 행사 내용은 DEVIEW 2013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고, 현장에서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그리고 행사에서 나눠준 노트와 볼펜.. 이쁘네요. 중간에 롯데호텔에서 드라마 촬영을 하는 것 같더군요. 무슨 드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여배우는 알겠네요.. ^^

리뷰/세미나 2013. 10. 20. 14:01
이전 1 2 3 4 ··· 1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현금의 재발견 - The Outs⋯
  • 달러구트 꿈백화점 - 주문⋯
  •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 불안한 사람들 - 프레드릭⋯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글 잘읽고, 공감, 꾸욱~⋯
  • 모호한 부분을 전부 짚어주셨⋯
  • 정확도가 아닌 정밀도가 맞는⋯
  • 내용 중 잘못된 점이 있어 댓⋯
Total
3,182,243
Today
0
Yesterday
465
링크
  • 수식입력_latex
  • W3Schools Online Web Tutorials
  • 영어 학습 사이트
TAG
  • 도서
  • 모바일
  • java
  • SCORM
  • 안드로이드
  • HTML
  • 애플
  • 통계
  • 구글
  • 디자인
  • r
  • 책
  • Hadoop
  • 웹
  • 분석
  • 빅데이터
  • mysql
  • 마케팅
  • Google
  • 맥
  • 세미나
  • 자바스크립트
  • fingra.ph
  • 아이폰
  • 클라우드
  • ms
  • 자바
  • 하둡
  • 프로젝트
  • XML
more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3 (1)
  • 2022/02 (2)
  • 2022/01 (1)
  • 2021/10 (2)
  • 2021/08 (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