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코리아에서 진행사는 세미나입니다. 사전등록으로 무료입니다. SAP솔루션에 대해 궁금했던 분들이 참석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기술적인 세미나 인것 같지는 않구요~ SAP에 대한 소개와 홍보가 주요 목적인 것 같네요.. 일시 : 2007년 11월 7일(수) 13:30 ~ 17:50 장소 : 리츠칼튼호텔 설악룸 A3F (미니맵으로 위치 보기) 음.. SAP Best Practice나 구현사례가 주요 주제이므로 도입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적합한 것 같습니다. 안내사이트는 http://sapsme.co.kr/IndustrySpeaks/si/invitation.htm 이구요 등록사이트는 http://sapsme.co.kr/IndustrySpeaks/si/regist.asp 입니다. p.s. IT 관..
다우기술과 레드햇에서 주최하는 오픈소스 심포지엄입니다. 무료인 것 같구요. linux, Jboss, Mysql과 같은 오픈소스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일시 : 2007년 11월 22일(목) 13:00 ~ 18:30 장소 : 잠실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륨 3F (미니맵으로 위치 보기)Infra Track과 Application Track으로 나누어 진행하는데요.. Infra Track에서는 레드햇 리눅스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하고, Application Track에서는 Jboss, Mysql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네요.. 안내사이트는 http://www.key-on.co.kr/redhat/oss_overview.htm 이구요 등록사이트는 http://www.key-on.co.kr/r..
2007. 10. 31 세미나 자료가 모두 웹에 올라와 있네요.. ^^ http://now.eloqua.com/es.asp?s=683&e=54C96EA43A184F63AF2F88F643A74B31&elq=5796A6684A464BB1A65F73DFF062BA4B 필요한 자료를 다운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 2007. 10. 25 BEA Developer Day를 좀전에 다녀왔습니다. 세팅 때문에 약간씩 늦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나름대로 괜찮았던 세미나였습니다. 특히 조대협님(http://bcho.tistory.com/)의 자바 튜닝 발표가 매우 유용했던 것 같습니다. 자주 사용하면서도 간과하기 쉬운 튜닝 부분에 대한 설명이 인상깊었구요..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쉬운 세션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어도비의 홍..
윈도우(XP)를 다시 설치할 경우, 어떤 것들을 최적화해야할까? 항상 설치할 때마다 고민하고.. 이것 저것 찾아보고.. 그때 그때 적용해왔었는데요.. 이번 기회에 대략적으로라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 (물론 모두 블로고스피어에 있는 글을 링크하려구 합니다. ^^) 1.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바로 윈도우 업데이트겠죠.. http://windowsupdate.microsoft.com/ 2. 백신프로그램 바이러스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하나 설치하는데요.. V3나 바이로봇도 있지만 Nod32가 가벼워서 주로 설치합니다. 간단한 사용법을 화면 캡쳐를 통해 정리해 둔 블로그가 있네요.. http://blog.naver.com/hjm01/26048731 3. MSCONFIG "시작 > 실행..
구글 애드센스 API 베타 서비스가 오픈되었다길래 한번 살펴봤습니다. 지식검색 같은 사이트에 붙여놓으면 괜찮겠다는 생각을 좀 했습니다만.. 일반 광고에 비해 얼만큼의 수익이 생길지는 확실히 모르겠네요.. 다만, 사이트 운영자 뿐만 아니라, 글을 올리는 사용자에게도 수익을 줄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구글의 Adsense API 사이트 주소는 여기입니다. (http://code.google.com/apis/adsense/) 내용을 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봤습니다. Adsense API가 뭔가요? Adsense API는 특정 웹 사이트와 광고 수익을 공유하는 솔루션으로 해당 웹 사이트는 UCC(User Created Content)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즉,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에 광고를..
여름 초입인데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원인모를 무기력감이 들고 있다.. 왠지 나른해지고~ 뭔가 강력한 걸 하고 싶다는 느낌.... 예전의 PC 통신 시절 많이 하던 "신의 손" 이라는 걸 하면 좀 나아질 것 같다는 생각도... 타이핑이라도 빨리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그만큼 뭔가 느릿느릿 진행되는 것 같은 느낌이 너무 싫은 것 같다... 소진.. 그만님의 블로그 소진에 대비하라 를 읽어보니..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개인의 완전한 좌절과 심리적인 공황이란다. 어쨋든 그만님의 블로그를 읽으면서 나만 그런건 아니라는 생각에 짐짓 위안도 되고 ^^ 하지만 그렇게 거창한 것은 아닌 것 같고.. 날씨 때문인 것 같다.. 하루는 울고.. 하루는 웃고.. 하루는 찌고... 이상하리만큼 오늘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들이 땡..
작년에 FLEX라는 것을 처음 접하고.. 테스트 겸 이것 저것 만들어 봤었는데~ 벌써 늦은 기술이라니~ 기술의 변화와 발전이 참 빠르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만큼 화려하고 빠르면서도 편리한 User Interface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크기 때문에 Adobe, MS, Sun의 대기업들이 달려드는 것이겠죠.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강건너 불구경만 할 수도 없고.. 쩝~~ 시간 나는 대로 테스트 해봐야겠네요~~ 1. AIR(Adobe Integrated Runtime) 음.. 거꾸로 하면 FLEX 때 한참 써먹었던 RIA가 되네요~ 웹 어플리케이션을 웹브라우저가 아니라 데스크톱에서 직접 실행하겠다는 점이 큰 차이인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OS에 대한 독립성을 유지하겠다는 것인데요.. 아쉬운 점은 F..
구글에 대한 이야기는 너무 많이 블로거들 사이에 오르내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주로 에드센스 이야기로 시작하더니.. 이제는 구글 내부의 UI, 프로젝트 관리 등으로 확대되어 가는 분위입니다. 과연 우리가 하고 있는 프로젝트 업무와 어떻게 다른지 ~~ 최근 올라오는 글을 몇개 읽어 봤습니다. 이전에 구글스토리라는 책을 읽어보기도 했지만.. 블로그를 통해 들어보는 구글 이야기도 나쁘지는 않더군요.. 팔글의 이삼구님의 다음 글을 읽어보세요~ 구글의 이해되지 않는 인재와 프로젝트 관리 구글의 이해되지 않는 인재와 프로젝트 관리 2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관리라 하면.. PM의 역할이 절대적이라고 보는 경향이 많은데, 구글은 그렇지 않다고 하는 이야기 입니다. 즉, PM의 목표는 개발자가 원활하게 일을 진행..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니.. IT 개발자의 야근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었습니다. 야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필수적인 것처럼 인식되기도 하는데요~ 실제적으로 야근을 한다고 해서 프로젝트가 얼마나 빨리 제대로 이루어질까요? 음... 제 생각에는 그리 큰 차이가 없을 듯 합니다. 왜냐하면, 다음날 그만큼의 성과를 올릴 수 없기 때문이죠.. 피곤하기 때문에~~ 물론 일찍 퇴근해서 술마시고 밤새 논다면.. 차이가 있겠지만.. ㅋㅋ 그런 의미에서 예전에 주 16시간 근무 이야기로 관심을 끌었던 "애자일 컨설팅에서 일해보니" 란 글이 생각이 나네요.. 근무하는 시간이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집중력을 가지고 일하는 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집 욕조에 누워 프로젝트를 고민하는 것과.. 책상에 앉아 아무 생각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