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실 5일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미 국채 금리 상승과 중국의 점진적 출구 전략 등의 영향으로 장중 2%를 넘어서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특히 전일 지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까지 1.1%로 높아지고 유가도 1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시장은 인플레이션으로 한발 더 다가갔다. OPEC+(OPEC과 러시아 등 10개 산유국 연합)가 다음 달 원유 생산량을 동결에 가까울 정도로 소폭 늘리기로 하면서 뉴욕상업거래소의 4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배럴당 2.55달러(4.2%) 폭등한 63.83달러에 장을 마쳤다. 이는 2019년 4월 이후 약 2년 만의 최고치다. 2. 전문용어: 미국 국채 금리 미국 정부가 채권을 발행해 돈을 빌릴 때의 금리 세계 경제가 안 좋을때, 가장 안전한..
1. 사실: 미국 저축률 6.8% 상승 미 상무부에 따르면 개인 저축률은 올 1월 기준 20.5%로, 지난해 12월(13.7%) 대비 6.8%포인트 상승했다. 역대 가장 높았던 작년 4월(33.7%)과 비교하면 9개월 만에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미 저축률은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이전만 해도 7% 안팎에 불과했다. 2. 전문용어: 가처분 소득 가처분소득은 수입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소비 또는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한다. 비소지비출은 소비와 직접관련이 없는 지출로 이자, 세금, 임대료 등을 말한다. 3. 궁금한 점: 저축률 상승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계저축률 상승은 금융시장의 성장 동력이 될 뿐만 아니라 저축된 자금이 기업의 투자로 이어질 경우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