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리뷰
nslookup & dig 명령어 사용법
루키~
2011. 5. 24. 16:40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이면서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도메인과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둘 다 많이 사용하는데요.
설정된 내용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nslookup
#nslookup
: 해당 서버의 기본 네임서버 정보 출력
> server
: 문의하기 원하는 타입 설정 (ns, a, mx, soa, txt...)
> set type=ns
: 문의 도메인
> tgrape.com
dig
#dig @문의네임서버 도메인 타입
#dig @203.248.252.2 tgrape.com mx
"문의네임서버"의 경우, nslookup을 통해 기본 네임서버 정보 확인 가능
실제로 구글앱스 설정을 한 경우, 해당 내용이 제대로 되는지 파악하는데 활용하기에 두 가지 명령어를 모두 활용할 수 있네요.
도메인과 관련된 설정 정보들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둘 다 많이 사용하는데요.
설정된 내용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nslookup
#nslookup
: 해당 서버의 기본 네임서버 정보 출력
> server
: 문의하기 원하는 타입 설정 (ns, a, mx, soa, txt...)
> set type=ns
: 문의 도메인
> tgrape.com
dig
#dig @문의네임서버 도메인 타입
#dig @203.248.252.2 tgrape.com mx
"문의네임서버"의 경우, nslookup을 통해 기본 네임서버 정보 확인 가능
실제로 구글앱스 설정을 한 경우, 해당 내용이 제대로 되는지 파악하는데 활용하기에 두 가지 명령어를 모두 활용할 수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