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의 경우 APK 파일만 있으면 마켓을 통하지 않더라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정 > 어플리케이션 > "Unknown sources"를 체크만 하면 APK 파일만으로도 설치가 가능하죠. 그러나 아이폰의 경우,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을 AppStore를 통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물론 해킹을 하면 ipa 파일을 받아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조금 어려움이 있습니다. 첫번째로 AdHoc 형태로 배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개발자 계정($100/year)에서 100개까지 개발자 테스트용으로 배포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테스트할 폰의 시리얼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일반 배포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식이라고 봅니다. 사내 테스트용으로는 사용할 수 있겠죠.. 두번째로 In-House 형태..
안드로이드 마켓을 바로가기 위한 안드로이드 폰에서의 URI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id에 해당 어플의 패키지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market://details?id=com.tgrape.android.radar T-Store에도 이런 기능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첨부한 파일을 보시면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1. SKAF App인 T-Store MobileClient와 App의 collaboration 연동 규격 2. Web Browser 기반의 URI 연동 규격 첫번째 방법은 첨부 문서의 소스 코드를 참고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구성할 수 있으니 여기에서는 두 번째 URI 규격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정리해 볼께요. 기본적인 URI/URL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tstore:/..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자인
- 빅데이터
- mysql
- ms
- 책
- 안드로이드
- Hadoop
- 세미나
- r
- 웹
- 프로젝트
- 마케팅
- HTML
- java
- 모바일
- 맥
- 분석
- 클라우드
- 통계
- 애플
- SCORM
- 자바
- fingra.ph
- 구글
- 아이폰
- 도서
- XML
- 하둡
- 자바스크립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