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사이트를 개발하다보면 통계나 각종 차트에 대해서 그래프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Flash나 Ajax를 이용해서 그래프를 출력할 수 있는 툴 들이 있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 본 그래프 툴을 소개할 예정인데요. Fotographer INNO 님의 웹 디자인에 유용한 차트 & 그래프를 보니 정말 다양한 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좀 더 다양한 그래프를 보고 싶으신 분은 위 링크를 한번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Highcharts - Ajax로 모바일까지 지원하는 그래프 툴Highcharts는 Ajax로 되어 있는 그래프 툴로서 상용이 아닌 경우, 무료로 사용할 수 있구요. 상용 버전도 1개발자에 약 40만원 정도로 그리 비싸지 않습니다. 일단 Ajax로 구성되어 있어서 모바일..
앞선 강좌에 따라 환경 설정을 하고 이클립스에 개발환경 세팅 후 맵리듀스 프로그래밍을 진행을 하다보면 조금 귀찮은게 있습니다. 우선 프로그램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매번 jar로 묶어줘야 한다는 점이 있구요. 또한 input 파일을 hadoop의 파일시스템으로 넣어줘야 한다는 것도 조금 귀찮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역시 standalone mode로 실행하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앞서 세팅한 하둡(hadoop) 설치부터 테스트까지 정리~ 에서는 pseudo-distributed mode였는데요. 이번에는 설정된 환경에서 몇개의 config 파일만 수정해서 standalone mode로 변경해서 jar로 묶지 않고 로컬의 파일시스템으로 예제를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anda..
웹 표준으로 넘어가면서 테이블 태그는 구닥다리이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합니다. 실제로 테이블로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까지 테이블 태그를 쓰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테이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태그를 쓰는 것보다 태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합니다. 즉, 달력, 차트, 스케줄, 통계와 같은 형식은 테이블을 쓰는 것이 좋겠지요. 그러나 테이블 태그를 사용할 때는 좀 더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태그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태그의 올바른 사용 예제로 요즘 한참 인기몰이중인 프로야구의 팀 순위를 가지고 테이블을 만들어 보도록 하죠. 프로야구 팀 순위 순위 팀 승-패-무 승률 1 SK 27-21-1 0.563..
마키디어의 소셜마케팅 정석 - 이상배(마키디어) 지음/이지스퍼블리싱 트위터에서 많이 보던 마키디어(@markidea) 님이 낸 책이네요.. ^^ 블로그 / 트위터 / 페이스북을 잘 활용하시는 분이라서 그런지 경험들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 놓은 것 같습니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 SNS를 통해 마케팅을 하려고 할 때 준비해야 하는 내용들이 체계적으로 예제와 함께 나와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2007년부터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놓치고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었네요. 트위터/페이스북은 그저 계정만 만들어놓고 눈팅만 하는 정도였었네요. 그러나 블로그 하나만 운영하기에도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에서 트위터/페이스북까지 제대로 운영하는 것은 일단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 그래도 몇가지..
MS에서 E3 2012 개막에 앞서 XBox의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였다고 하네요. XBox에 상당히 많은 공을 들인 것 같습니다. 먼저 스마트 글래스 관련 발표내용을 보시죠. XBox에 소개된 각 서비스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Box 스마트글래스XBox와 스마트폰/태블릿을 연동하는 것인데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화면을 XBox와 연결된 TV에 올려서 볼 수도 있구요. TV에서 영화를 보고 있을 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는 관련된 콘텐츠 정보를 표시해 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애플 TV와 아이폰/아이패드를 연동한 에어플레이와 비교해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다만 XBox 스마트글래스는 MS의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아이폰, 안드로이드에서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인터넷 익스플로러 for XBox일단 요..
실제 접속한 사용자가 있을 때, 웹서버를 재시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리눅스 명령어가 필요해 정리해 봤습니다. 결과부터 이야기 하면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netstat -an | grep :80 | grep ESTB | wc -l이 명령어를 alias를 적용해서 사용하면 바로 체크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각의 명령어를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죠. netstat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알려주는 명령어 입니다. 프로토콜,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요. 다양한 옵션으로 더 많은 정보를 볼 수도 있습니다. -a 모든 소켓 정보를 출력합니다. -n 호스트명 대신 숫자로 출력합니다. -p PID와 프로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