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지리정보시스템)
I. GIS 개요
GIS 정의
- 지리 공간과 관련된 정보의 취득, 처리, 저장, 분석 및 활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포함된 모든 기술
-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정보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인적자원의 총체적인 조직체
GIS 특징
| 항목 | 주요내용 |
| 도형 및 비도형 자료의 동시 관리 | 지도상에 표기되어 있는 방대한 양의 도형 자료와 이 도형 자료가 지니고 있는 비도형(속성) 자료를 상호 연관시켜 저장/관리한다. |
| 연속지도 | 여러장의 지도를 하나의 연속된 지도로 관리할 수 있는 공간좌표 개념이 필요하다. 지도를 물리적으로만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속성자료도 논리적으로 연결시켜주어야 하며, 여러 장의 도면에 걸친 Line, Area 자료인 경우, 하나의 도면인 것처럼 관리해야 한다. |
| DBMS |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저장/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DBMS 기능을 필요로 한다. 현재는 도형자료 관리를 위해 Arc/info, Map info와 같은 GIS Tool을 속성 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infomix, Oracle과 같은 상용 DBMS를 사용하고 있다. |
| 다양한 검색 및 분석 | 도형자료와 속성자료에 부합하는 것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 지형 분석 기능 |
Video GIS 개념
- 기존의 컴퓨터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이 아니라 비디오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직접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공간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하는 시스템
발전방향
기존 - ITS, LBS, 텔레메틱스 등 IT 분야로 발전
미래 - 첨단 정보통신 기술과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U-GIS 공간정보 기술로 진화
II. U-GIS
정의: 기존 공간정보기술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것
특징
- 기존 GIS가 도로, 하천, 지하시설물과 같이 정적 지형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 U-GIS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시,공을 포함한 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위치 인식과 이동성을 가짐
-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GeoSensor를 통한 실시간 정보 센싱
- 동적 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 기술
- 타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하여 운용
'컴퓨터공학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NS(Object Name Service) (1) | 2011.10.25 |
|---|---|
| EPC(Electronic Product Code) - 전자상품코드 (0) | 2011.10.24 |
| 뉴 IT 전략 (2) | 2011.10.20 |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1) | 2011.10.19 |
| Metaverse (0) | 2011.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