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김영사 마이클 샌델 교수는 27세에 최연소 하버드대 교수가 되었고 국내에도 꽤 알려진 석학입니다. 그가 2010년 발행한 "정의란 무엇인가?" 란 책을 이제야 읽게 되었는데요. 듣던대로 잠시도 눈을 뗄 수 없이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었습니다. 샌델 교수는 정의란 것을 이야기 하기 위해서 고대의 정의론과 근현대의 정의론에 대해서 비교합니다. 고대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란 사람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주는 것이라고 가르쳤다고 합니다. 누가 무엇을 받을 자격이 있는가를 결정하려면, 어떤 미덕에 영광과 포상을 주어야 하는가를 결정해야 했다고 하네요. 반면 18세기의 이마누엘 칸트부터 20세기의 존 롤스에 이르기까지 근현대 정치 철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NoSQL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10gen에서 개발한 몽고디비(MongoDB)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보통 NoSQL이라고 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스키마가 없이 Key-Value 쌍으로 언제든지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ongoDB도 역시 스키마 없는 Document Data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가 Google App Engine을 사용할 때 Big Table이라는 구글의 NoSQL을 써봤는데요. 간단한 기능을 개발할 때 DB 스키마를 만들지 않고 문서를 원하는대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구조가 상당히 효율적이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래 내용은 MongoDB in Action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MongoDB 개요MongoD..
빅 스몰 - 김상훈 지음/자음과모음(이룸) 동아일보 기자이면서 블로그 인터프리팅 컴파일러(http://interpiler.com) 운영자인 김상훈 님이 쓴 인터넷과 공유를 통한 성공 사례들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아마도 다음 글이 세상의 많은 기회를 알려주기 위해서 저자가 블로그를 운영하고 빅스몰이란 책을 쓴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이 기회를 마다하고 있다. 그리고 주어진 길만 묵묵히 걷는다. 소명을 따르는 건 존중받고 칭찬받아야 할 일이다. 하지만 세상의 선택은 백만 가지가 됐는데, 사람들의 선택은 그만큼 다양하지 못하다면 어떻게 될까. 그 결과가 지금의 세상인지도 모른다. 불평등이 심해지고 노력만큼 대접받지 못하는 세상. 실제로 요즘 부의 양극화란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
대중의 직관 - 존 L. 캐스티 지음, 이현주 옮김, 황상민 해제/반비 존 캐스티는 이 책을 통해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향이 사건을 만든다는 것이다. 역으로 사건이 다시 전반적인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건이 발생하고 여론이 형성된다고 생각하는 통념을 벗어나는 것이죠. 이런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사회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유행의 탄생 (단기 사건), 전쟁/경기순환/정치적 위기의 발생 (중기 사건), 열강의 탄생과 몰락 (장기 사건)의 실례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회경제학의 중심 가설이라고 이야기하는 이 책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는 것이죠. (사회경제학이라는 학문적 방법론은 저자 존 캐스티의 발명품이 아니라 수십 년 전 로버트..
- Total
- Today
- Yesterday
- SCORM
- HTML
- java
- 하둡
- Hadoop
- 책
- 애플
- XML
- r
- 자바스크립트
- 안드로이드
- 자바
- 구글
- 세미나
- 아이폰
- 마케팅
- 디자인
- 통계
- 웹
- fingra.ph
- 모바일
- 도서
- 분석
- ms
- mysql
- 빅데이터
- 맥
- 클라우드
- 프로젝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