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NoSQL에서 많이 사용하는 카산드라(Cassandra)의 데이터 모델과 칼럼 패밀리 등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한다. 카산드라 개요 카산드라는 구글 BigData의 컬럼 기반 모델과 아마존 Dynamo의 분산 모델을 기반으로 페이스북에서 만든 데이터베이스이다. JVM 기반으로 동작하며 분산 환경으로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칼럼 패밀리 기반으로 대용량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도 용이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에서 주로 사용한다. 카산드라 데이터 모델 카산드라는 Key-Value 형태의 NoSQL로서 칼럼 패밀리 형태의 데이터 모델을 활용한다. 참고로 카산드라와 함께 많이 사용하는 몽고디비는 도큐먼트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칼럼 패밀리 (Column Family) 칼럼 ..
법륜스님의 금강경 강의 - 법륜 지음/정토출판 통독: 2014.03.16 ~ 2014.04.19 비록 불교 신자는 아니지만 법륜 스님의 금강경 강의를 통해 법전을 처음 접해봤다. 금강경 자체는 어려웠지만 법륜 스님의 상세한 해석들을 보면서 그 의미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상에 대한 집착이다. 나도 현재까지 주관적인 관점에서 상을 만들고 그것에 집착한 것은 아니었을까? 사람들은 모두 제 나름대로 소신이라고 믿는 각자의 편견으로 세상을 봅니다. 그리고 그 편견의 눈에 비친 세상의 모습을 끊임없이 분별하면서 번뇌를 읽으키고 괴로워합니다. 상에 집착해 실상을 보지 못하고 진실을 듣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해야 합니다. 세상에서 손가락질받는 사람의 말일지라도 그 속에서 진리를 들..
미니서평 에릭 리스의 린스타트업, 애시모리아의 린캔버스에 이어 세번째 읽는 린 시리즈이다. 린 분석은 린스타트업을 활용할 때 막연한 부분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한다. 언제 어떤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을 해야 할지 모를 때 참고할 만한 책이다. 알리스테어 크롤(Alistair Croll)과 벤저민 요스코비치(Benjamin Yoskovitz)의 경험과 다양한 사례를 통해 OMTM을 살펴볼 수 있다. OMTM이란 One Metric That Matters의 약자로 현재 단계에서 무엇보다 중점을 두는 한가지 지표를 의미한다. 먼저 사업 모델에 따라 6가지로 나누고 각각의 5개 사업 단계에 따라 집중해야 하는 지표(OMTM)을 설명한다. 6가지 사업 모델은 E-Commerce, SaaS, Mobile App, Me..
걸리버 여행기 - 조나단 스위프트 지음, 신현철 옮김/문학수첩 통독: 2013.12.22 ~ 2014.03.08 조너선 스위프트(Jonathan Swift)의 걸리버 여행기 완역본이라고 한다. 어릴 때 봤던 소인국과 거인국 이야기의 동화책인 걸리버 여행기는 아니다. 비평가들에 의해 변경, 삭제 되어 정치적 위험이 없는 아동용 도서로 둔갑한 것이라고 한다. 걸리버 여행기는 기존에 알고 있던 "작은 사람들의 나라", "큰 사람들의 나라"와 더불어 "하늘을 나는 섬의 나라"와 "말들의 나라"로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으로도 정치, 사회, 법률, 학문, 역사에 대해 신랄한 비판과 풍자가 들이었는 소설이다. "작은 사람들의 나라"에서는 기존 정치에서 말도 안되는 것들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줄타기로 관직을..
인터넷 광고와 관련된 용어들이 CPM, CPC 등 약자로 되어 있죠.. 이번 기회에 전체적으로 정리해 보려고 한다. CTR (Click Through Rate) 인터넷 광고는 노출을 기반으로 클릭해서 해당 웹 페이지나 모바일 앱 다운로드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출 대비 클릭이 얼마나 일어나는지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CTR이라고 한다. CTR = (광고 클릭수 / 광고 노출수) x 100 CPM (Cost per Thousand Impressions) 광고를 1,000회 노출할 때 들어가는 광고비용을 의미한다. 흔히 노출 광고라는 것이 이에 해당하며 주로 포탈 메인등에 집행되는 광고다. CPM = (광고 비용 / 광고 노출수) x 1000 CPC (Cost per Click) 광고 클릭당 광..
뭔가 어설프게 알고 있다는 것이 찜찜할 때가 많다. 자주 사용하지 않다보니 대략 알고 있다가 필요할 때마다 또 찾아보고 넘어가는 것 같다. 그래서 RAID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놓으려고 한다. RAID란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의 약자로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법으로 각 레벨에 따라 신뢰성을 높이거나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사용한다. RAID를 이해하기 위해 "스트라이핑(Striping)"과 "미러링(Mirring)"에 대해서 먼저 알고 있어야 한다. 스트라이핑은 논리적으로 연속된 데이터 세그먼트들이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이다. 쉼게 말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일..